맥에서 minikube 를 기반으로 쿠버네티스 실습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Minikube 란 무엇인가?
Minikube 는 Mini + kube 의 합성어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 위해서 시작된 프로젝트 입니다.
보통 클러스터를 구성해야하는 플랫폼들은 개발자가 개인 PC 에 실습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수 있는데, 쿠버네티스 또한 마찬가지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minikube 를 활용하면 매우 간편히 개인 PC 에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
설치
minikube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2개의CPU, 2GB 의 메모리, 20GB 의 디스크 공간 등을 요구하는데,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다양한 환경(OS, Architecture 등)에 minikube 를 설치하는 방법도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설치 스크립트를 제공해 주므로 쉽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.
https://minikube.sigs.k8s.io/docs/start/
이번 글에서는 맥의 패키지 관리자 homebrew 를 통해 minikube 를 설치하도록 할텐데, minikube 설치 이전에 minikube 구동 시 사용할 Docker 컨테이너를 설치를 해야하는데, 맥에서 도커를 사용할 때는 brew cask 로 Docker Desktop on Mac 설치를 해주게되면, docker-compose 와 docker-machine 을 함께 설치해 주므로 좀더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.
또한, minikube 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kubectl 의 설치도 필요하므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설치를 진행 합니다.
brew install --cask docker
brew install kubectl
brew install minikube
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시작하기
설치가 완료되면 docker 를 driver 로 설정하고 minikube 를 아래와 같이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.
설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.
minikube start --driver docker
설치 후 아래 설정 파일을 확인해 보면,
설정 파일
cat ~/.kube/config |
console
apiVersion: v1 clusters: - cluster: certificate-authority: /Users/taehui/.minikube/ca.crt extensions: - extension: last-update: Sat, 26 Feb 2022 10:40:04 KST provider: minikube.sigs.k8s.io version: v1.25.2 name: cluster_info server: https://127.0.0.1:54208 name: minikube contexts: - context: cluster: minikube extensions: - extension: last-update: Sat, 26 Feb 2022 10:40:04 KST provider: minikube.sigs.k8s.io version: v1.25.2 name: context_info namespace: default user: minikube name: minikube current-context: minikube kind: Config preferences: {} users: - name: minikube user: client-certificate: /Users/taehui/.minikube/profiles/minikube/client.crt client-key: /Users/taehui/.minikube/profiles/minikube/client.key |
clusters, contexts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minikube 가 current-context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minikube 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minikube 상태 확인
minikube status |
minikube type: Control Plane host: Running kubelet: Running apiserver: Running kubeconfig: Configured |
클러스터가 잘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Minikube Dashboard
쿠버네티스를 처음 입문하게되면 많은 명령어들을 사용해야 하는데, Minikube 에서는 초보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GUI 환경을 제공하는데 이것이 바로 Minikube Dashboard 입니다.
먼저 아래 명령어를 통해 현재 활성화 되어있는 애드온 리스트를 확인해 봅니다.
minikube addons list |
dashboard 가 disabled 상태이므로, 아래 명령어를 통해 enabled 상태로 변경해 줍니다.
minikube addons enable dashboard |
대시보드가 활성화 되었다면, 아래 명령어를 통해 대시보드를 실행해 줍니다.
minikube dashboard |
브라우저에 아래와 같은 화면이 실행되었다면 모든 설치가 잘 완료된 것 입니다.
지금까지 맥에서 미니쿠베 클러스터 설치와 자주 사용하는 애드온인 대시보드 설정까지 살펴보았습니다.
'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OS 에서 ip 명령어 사용하기 (0) | 2022.09.12 |
---|---|
Visual Studio Code 로 원격 서버(AWS EC2)에서 작업하기 (0) | 2022.09.12 |
테라폼 설치 및 기본 설정 (macOS) (0) | 2022.09.04 |
macOS 초기화 후 개발자를 위한 초기 세팅 (0) | 2022.09.02 |
네이버에 내 (티스토리)블로그 사이트 검색 등록하기 (2) | 2022.09.01 |